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Network Associated 3D Video Broadcasting System
- Author
-
Kug-Jin Yun, Won-Sik Cheong, Kyuheon Kim, and Jin Young Lee
- Subjects
business.industry ,Computer science ,Embedded system ,Digital television ,business ,Broadcasting system - Abstract
ATSC is currently working on standardization of hybrid 3DTV broadcasting service in heterogenous network environment after completion of service-compatible 3DTV broadcasting service standard based on broadcasting channel. This paper proposes a convergence 3D video broadcasting method on broadcasting and IP network while guaranteeing a Full-HD 3D quality without degrading the image quality of legacy DTV. Specifically, this paper describes transmission of the 3D additional video using the ISO/IEC 23009-1 DASH, robust synchronization method under heterogenous network environments and system target decoder model for hybrid 3DTV receiver.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rm that proposed technologies can be used as a core technology in the hybrid 3DTV standardization and a reference model for a development of hybrid 3DTV encoder and receiver. Keyword : 3DTV, ATSC, Hybrid, Stereoscopic, DTV, STD 정규논문 (Regular Paper)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2014년 9월 (JBE Vol. 19, No. 5, September 2014) http://dx.doi.org/10.5909/JBE.2014.19.5.687 ISSN 2287-9137 (Online) ISSN 1226-7953 (Print) 688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2014년 9월 (JBE Vol. 19, No. 5, September 2014) 그림 1. 이종망 연동형 3D 비디오 방송서비스 개념도 Fig.1. Conceptual diagram of hybrid network associated 3D video broadcasting service I. 서 론 사용자의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감 미 디어는 “스마트”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분야의 개발 방향과 함께 사회의 키워드로 점차 자리 매김하고 있다. 실감 미디 어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인간에게 자연감과 사실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현장감/입체감을 제공하는 3D 분야 및 초고화질을 제공하는 UHD 분야를 중심으로 핵심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특히 3D 영화의 성공은 3D 미디어를 극 장과 같은 특화된 환경이 아닌 댁내와 같은 일반 시청환경 하에서도 현장감과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 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시청자에게 대용량의 고 화질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다양한 네트 워크의 융합을 통한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다 .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및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등 전 세계 표준단체를 중심으로 제정된 서비스호환 3DTV 방송방식은 기존 DTV와 호 환성을 유지하면서 3D 비디오를 한 프레임 내 다중화한 단 일 영상을 서비스하는 프레임호환 3DTV 방송서비스에 비하여 고화질의 3DTV 방송서비스가 가능하나 기존 방송 망 대역폭을 통하여 좌우영상을 제공함으로써 Full HD 화 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이를 반영하듯 ATSC 는 2012년 12월 방송망기반 서비스호환 지상파 3DTV 방 송서비스 표준 완료 이후 현재 방송망 및 IP망을 결합한 하 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표준화를 추 진 중에 있다. 하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는 스마트TV 환경 하에서 기존 DTV 화질 열화 없이 시청자에게 FULL HD 3D 비디오 제공이라는 핵심 요구사항을 토대로 이종망 연동 3D 비디오 전송에 따른 시그널링, 좌우영상 동기화 및 수신기 내에서 안정적인 3D 비디오 재생을 위한 시스템 타겟 디코더 모델이 핵심기술로 요구되고 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종망기반의 하이브리드 3DTV 방 송서비스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그널링, 동기 화 및 시스템 타겟 디코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3D비디오 방송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의 II장에서는 제안한 이종망 융합형 3D 비디오 방송서비스 개요, 서비스 시그널링 구조, 이종망기반 3D 비디오 동기화 및 시스템 타겟 디코더 모델 등 핵심기술을 설명하고, III장에서는 제안한 기술을 토대로 3D 비디오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송시스템 개발 및 실험결과를, 마지막 으로 IV장에서 결론 및 향후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II. 이종망 연동형 3D 비디오 방송서비스
- Published
- 2014
- Full Text
- View/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