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Search
Start Over
Deformation bands in the Eoil Basin, Gyeongju, Korea: Field occurrenc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 Source :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7:275-291
- Publication Year :
- 2021
- Publisher :
-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21.
-
Abstract
- 취성변형에 의해 비다공질 암석에서는 단열이, 다공질 암석에서는 변형띠가 주로 발달하며, 이들 중 일부는 단층으로 진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질 암석 내 변형띠의 산상과 구조적, 물질적 특성을 기반으로 변형띠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경주 어일분지 반고결 퇴적층 내 변형띠를 대상으로 구조관찰 및 물질분석을 실시하였다. 노두규모 관찰 결과, 변형띠는 운동학적 분류로 볼 때 전단띠이다. 식별되는 대부분의 전단띠는 수 ㎜ 폭과 10 ㎝ 미만의 겉보기 전단변위를 보인다. 대표적인 전단띠의 미구조 관찰결과, 파쇄로 인한 입자크기의 감소는 있으나 암편이 기질보다 많은 초기단계 파쇄변형 조직이 확인된다. 한편, 노두관찰에서 겉보기 변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띠의 폭이 증가하는 경향과 전단띠 중 소수는 단층활면의 발달과 함께 최대 ~3 ㎝의 넓은 폭을 갖는 단층성 변형띠(또는 단층)로 진화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단층성 변형띠 내부에는 전단변형이 집중된 영역인 수십 μm 폭의 주미끌림대가 발달하는데, 특징적으로 석영, 장석의 초미세입자들과 점토광물(특히, 스멕타이트)들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관찰은, 작은 변위의 전단띠에서는 초기단계 파쇄변형 조직의 발달이 응력변형강화 거동과 그에 따른 전단띠 폭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는 반면, 초파쇄변형에 의한 초미세입자들의 형성이나 낮은 마찰강도의 점토광물들의 생성은 주미끌림대에서의 응력변형약화 거동과 전단변형 국지화(또는 전단띠의 단층으로의 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Details
- ISSN :
- 22887377 and 04354036
- Volume :
- 57
- Database :
- OpenAIRE
- Journal :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Accession number :
- edsair.doi...........54accc9a8355df7001bf42ce13414571
- Full Text :
- https://doi.org/10.14770/jgsk.2021.57.3.275